백준 코딩테스트

[백준] 후위 표기식2 (1935) -Java

nan2 2023. 10. 30. 13:56
반응형

문제

후위 표기식과 각 피연산자에 대응하는 값들이 주어져 있을 때, 그 식을 계산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

입력

첫째 줄에 피연산자의 개수(1 ≤ N ≤ 26) 가 주어진다. 그리고 둘째 줄에는 후위 표기식이 주어진다. (여기서 피연산자는 A~Z의 영대문자이며, A부터 순서대로 N개의 영대문자만이 사용되며, 길이는 100을 넘지 않는다) 그리고 셋째 줄부터 N+2번째 줄까지는 각 피연산자에 대응하는 값이 주어진다. 3번째 줄에는 A에 해당하는 값, 4번째 줄에는 B에 해당하는값 , 5번째 줄에는 C ...이 주어진다, 그리고 피연산자에 대응 하는 값은 10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.

후위 표기식을 앞에서부터 계산했을 때, 식의 결과와 중간 결과가 -20억보다 크거나 같고, 20억보다 작거나 같은 입력만 주어진다.


출력

계산 결과를 소숫점 둘째 자리까지 출력한다.


예제 입력 1 

5
ABC*+DE/-
1
2
3
4
5

예제 출력 1 

6.20

예제 입력 2

1
AA+A+
1

예제 출력 2

3.00
 
 

내가 푼 코드

import java.io.BufferedReader;
import java.io.IOException;
import java.io.InputStreamReader;
import java.util.Stack;

public class Main {
   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throws IOException {
        BufferedReader br = new BufferedReader(new InputStreamReader(System.in));
        int N = Integer.parseInt(br.readLine());
        char[] chars = br.readLine().toCharArray();
        Stack<Double> stack = new Stack();
        String pattern = "+,*,/,-";
        double temp_result = 0;

        // 피연산자(숫자)
        Double[] arr = new Double[N];
        for(int i = 0; i < N; i++) {
            arr[i] = Double.parseDouble(br.readLine());
        }
        
        // 피연산자, 연산자 분기 처리
        for (int i=0; i<chars.length; i++) {
            String chracter = Character.toString(chars[i]);
            if ( !pattern.contains(chracter) ) {         // 피연산자면 stack에 push
                stack.push(arr[chars[i] - 'A']);
            } else {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// 연산자면 stack에서 2개 꺼내서 연산
                double num2 = stack.pop();
                double num1 = stack.pop();

                temp_result = getCalculate(chracter, num1, num2, temp_result);
                stack.push(temp_result);
            }
        }
        System.out.println(String.format("%.2f", stack.pop()));
    }
    
    // 연산자 계산 메서드
    static double getCalculate(String operator, double num1, double num2, double temp_result) {
        switch (operator) {
            case "+":
                temp_result = num1 + num2;
                break;
            case "*":
                temp_result = num1 * num2;
                break;
            case "/":
                temp_result = num1 / num2;
                break;
            case "-":
                temp_result = num1 - num2;
                break;
        }
        return temp_result;
    }
}

 

 

Stack을 이용해서 푼다.

1. 피연산자인 알파벳을 숫자형태 (double) 로 바꾸기 위해 입력 받은 값을 Double[]에 담아둔다.

 

2. 계산식을 char[] 배열에 담아 연산자와 피연산자를 구분하여 피연산자이면 double 형태로 변경하여 Stack에 push()한다.

*** 이때, 알파벳은 대문자 'A'부터 차례대로 시작하기 때문에 Double[]에 담긴 숫자를 index를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호출하면 알파벳을 숫자형태로 변경할 수 있다.

피연산자가 1개이면 arr 에는 무조건 arr[0]을 가져오면 된다.

피연산자가 5개이면 arr 에서 arr[0], arr[1], ... 이런식으로 숫자를 가져오면 되는데 이 또한, 알파벳 대문자 순서대로이기 때문에 원래 알파벳에서 아스키코드 'A'(65) 를 빼주면 A = arr[0], B = arr[1], C = arr[2], ... 이런식이 된다!!

 

3. 연산자이면 Stack에서 pop()을 2번하여 숫자를 2개(num1, num2) 빼낸 다음 getCalculate() 메서드를 호출하여 값을 계산한다.

 

4. 그 값(temp_result)을 다시 Stack에 push()한다.

 

5. 반복문이 끝난 후 stack에는 1개의 값만 남아있게되고 그 값을 호출하면 된다.

소수점 2자리까지 출력되게 하기 위하여 처음부터 double 타입으로 진행하였고, 출력시에도 String.format("%.2f", xxx)를 이용하였다.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