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1. maven 프로젝트의 경우 pom.xml에 아래 라이브러리를 추가한다.
<!-- JSP -->
<dependency>
<groupId>javax.servlet</groupId>
<artifactId>jstl</artifactId>
</dependency>
<dependency>
<groupId>org.apache.tomcat.embed</groupId>
<artifactId>tomcat-embed-jasper</artifactId>
</dependency>
2. 프로젝트 구조 변경한다.
Thymeleaf 템플릿을 사용하는 경우 resources/templates에 html 파일을 넣어주면 되지만,
JSP 로 화면을 보여주기 위해선, webapp/WEB-INF 폴더를 생성해주고 그 안에 .jsp 파일을 넣어준다.
3. ViewResolver 설정 변경한다.
application.properties 파일에 ViewResolver 경로를 변경해준다.
spring.mvc.view.prefix=/WEB-INF/
spring.mvc.view.suffix=.jsp
반응형
'스프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Spring] 스프링부트 스케줄러 사용하기 (0) | 2022.03.29 |
---|---|
[Spring] application.properties 또는 application.yml 파일에 미리 값을 지정해둔 다음 사용하기 (0) | 2022.03.29 |
스프링 시큐리티 + Ajax post → 403 에러 (0) | 2022.01.29 |
WebSecurityConfigurerAdapter의 configure() 오버라이딩 (0) | 2022.01.27 |
스프링 시큐리티 동작 순서 (0) | 2022.01.27 |